Ramskey의 알면 좋은 위스키 정보

Ramskey Whiskey Guide : #1 캐스크 스트렝스

ramskey 2025. 2. 25. 01:11

작성일: 2025-02-25


1. Introduction

캐스크 스트렝스를 알아보려 하는 이유

  • 위스키 라벨을 보다 보면, 캐스크 스트렝스 ( Cask Strength ) / 배럴 프루프 ( Barrel Proof ) / uncut … 등의 용어를 보신 적이 있을거에요
  • 이게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/ CS, BP, Uncut 은 어떤 것인지를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.

2. Definition & Details

캐스크 스트렝스의 정확한 정의

  • 캐스크 스트렝스란, 오크통에서 나온 위스키 원액에 “물”을 타지 않은 제품을 의미합니다.
  • 일반적으로 위스키를 출시 할 때, 위스키 원액에 물을 섞어 도수를 낮추고, 좀 더 음용성을 좋게 합니다.
  • 하지만 캐스크 스트렝스 위스키는, 좀 더 본연의 맛을 느끼기 위해 / 원액 그 자체의 맛을 감상하기 위해 위스키 원액에 물을 섞지 않고 출시하는 제품이죠
  • 일반적으로 CS ( Cask Strength ) 로 줄여 쓰는 경우가 많으며, CS 라는 것이 붙어 있는 위스키는 Cask strength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

배럴 프루프란 ?

  • 미국에선 도수를 나타낼 때, Proof 라는 단위를 활용합니다.
  • 오크통을 의미하는 Barrel 이라는 말과, Proof 가 합쳐져 Barrel Proof 로 활용하는데, 의미하는건 Cask Strength 와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
  • 즉, Barrel Proof / 배럴 프루프라고 적힌 위스키는 Cask Strength 와 같이, 오크통 원액에 물을 타지 않고 병입한 위스키입니다.

3. Why It Matters (왜 중요한가?)

캐스크 스트렝스 위스키를 왜 일반적인 위스키와 구분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.

  1. 맛 차이가 확연히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.
    • 물을 탄 위스키와 / 캐스크 스트렝스 위스키는 맛 차이가 꽤 뚜렷합니다.
    • 예를들어, 라프로익 10년 위스키와, 라프로익 10 CS 위스키는 비교하며 드셔 보시면, CS 위스키의 향과 맛이 꽤 뚜렷하고 강력하게 들어오는것을 경험 해 보실 수 있습니다.
    • 또한, 일반적으로 구할 수 있는 글렌리벳 15년과 글렌리벳 15년 CS ( 대만 한정판 ) 을 드셔보시면, 맛차이가 꽤 뚜렷합니다.
  2. 원액이 다를 수 있습니다.
    • 위에서 글렌리벳 15년과, 글렌리벳 15 CS ( 대만 한정판 )을 말씀 드렸는데, 사실 실제 글렌리벳 15년과, 글렌리벳 15 CS 가 같은 원액이라는 보장은 없습니다.
    • 즉, CS 버전을 만들기 위해 동일한 숙성 년수를 지녔다 할지라도 다른 원액을 썼을 수도 있습니다.
    • 더 맛있는 원액을 선별하여, 물을 타지 않고 CS로 제품 출시를 할 수 있으니, CS 버전을 마셔 보는것이 더 다양한 경험을 줄 수 있습니다.
  3. 도수가 높으면, 알코올이 가지고 있는 향과 맛이 더 많을 수 있습니다.
    • 1번과 비슷한 맥락의 말인데, 알코올은 물질을 녹여내기 위한 정말 좋은 용매입니다.
    • 알코올 도수가 높으면 높을 수록, 더 다양한 향과 맛이 녹아 들어 있을 수 있습니다.
    • 따라서, 물을 타지 않고 높은 도수의 위스키를 우리가 마셨을 때, 더 많은 향과 맛을 체험 할 수 있습니다.

4. Common Misconceptions ( 오해 / 헷갈리는 점 )

그럼 여기서 캐스크 스트렝스에 대해 쉽게 오해 할 수 있는 몇가지를 짚어보겠습니다.

  1. 도수가 높으면 무조건 캐스크 스트렝스 일까요 ?
    • 정답은 X 입니다.
    • 도수가 높더라도, 물을 덜 탄 위스키 일 수 있기 때문에, 라벨에 캐스크 스트렝스 / 배럴 프루프 라는 것이 적혀 있는지 확인 할 필요가 있습니다.
  2. 캐스크 스트렝스가 그럼 항상 더 맛있는 위스키일까요 ?
    • 정답은 X 입니다.
    • 사람마다 입맛은 다 다르기 때문에, 캐스크 스트렝스의 위스키를 부담스러워 하시는 분들도 정말 많이 존재합니다.
    • 또 도수가 높기 때문에, 음용성이 좋지 않아 정말 취향을 많이 타는 위스키 종류 입니다.
  3. 그럼 오크통에서 나온 술들끼리 섞은 위스키에 물을 타지 않았다면, 이 위스키는 캐스크 스트렝스 일까요 ?
    • 정답은 O 입니다.
    • 물을 타지 않은 위스키를 섞어 병입했다면, 해당 위스키는 캐스크 스트렝스 위스키로 분류 될 수 있습니다.

5. Real-World Examples

예시 제품 / 사례

glenfarclas 105

  • 전 세계에서, 캐스크 스트렝스라는 개념을 최초로 도입한 위스키는 글랜파 클라스 105 CS 제품으로 알려 져 있습니다.
  • 해당 위스키는, 105 영국 proof 의 도수 ( 알코올 도수 : 60% ) 로 병입 된 위스키고, Cask Strength 위스키 입니다.
  • 여기서 한가지 더 궁금한 점이 생길 수 있습니다.

❓ 오크통에서 나오는 위스키의 도수는 오크통마다 각각 다를텐데, 어떻게 도수를 60도로 맞춰서 나오지 ?

  • 이 질문을 이해하기 위해선, 오크통에서 나오는 위스키는 제마다 각각 맛과 향, 도수가 다른것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.
  • 동일한 방식으로 증류하고, 동일한 년수를 숙성 한 위스키라 할지라도, 각각 오크통 마다 맛은 제각각 입니다.
  • 또한 오크통마다 증발량도 다르기에, 각 오크통의 도수도 제각각이지요.
  • 하지만 저 글렌파 클라스 105 같은 경우는, 항상 60도 ( 영국 105 proof )로 맞추어 출시합니다.
  • 이를 위해서, 글랜파 클라스 105 증류소 에서는 도수를 맞추기 위해 낮은 도수에서 나온 위스키 원액과, 높은 도수에서 나온 위스키 원액을 물을 타지 않고 위스키 원액끼리 섞어 도수를 60도에 맞추어 병입합니다.
  • 즉, 물을 타지 않았지만 도수를 항상 동일하게 맞추는 것은 가능하며, CS 기준에도 문제 될 것이 없습니다.

글렌파 클라스 105

  • 예시로 들었던 해당 위스키는, 황냄새 / 강렬한 셰리의 향 / 강렬한 맛이 특징적인 위스키 입니다.
  • 화산지대 / 계란 노른자 냄새와 같은 황냄새가 강력해, 호불호를 어느정도 가지고 있는 위스키 입니다.
  • 하지만, 정말 강렬한 셰리 위스키의 맛과 향을 가지고 있어, 황냄새에 심하게 예민한 분이 아니라면 정말 즐겁게 마실 수 있는 위스키라 생각합니다.
  • 이정도 도수에 이정도 맛에 이정도 가격이면 정말 정말 괜찮은 제품이라 생각하고, 국내에선 약 10만원 초중반 가격에 구할 수 있습니다.
  • 🥃 데일리샷에서 구매하기 : https://dailyshot.page.link/Y7PR44qk9JSoKeMB7 ( 회원가입 시 친구 초대 코드를 입력하면 3000원 포인트를 받으실 수 있어요 ! 초대 코드 : QAU2P )
 

글렌파클라스 105 CS 데일리샷에서 주문해보세요!

 

dailyshot.page.link

 

글렌 알라키 10 CS

글렌알라키 10 cs batch 10

  • 빌리 워커 선생님의 명작 중의 하나라 생각하는 위스키 입니다.
  • 글렌알라키 증류소에서 나온 제품이며, 10년 숙성 셰리 위스키 입니다.
  • 강렬한 건포도향 / 강렬한 단맛, 매운맛이 존재하는 위스키이며, 꾸덕한 초콜릿 향이 인상적입니다.
  • 배치 별로 가격과 맛 차이가 나는 편이나, 개인적으론 맛있는 배치를 몇배의 가격을 더 주고 사는 것 보단, 저렴한 가격으로 구할 수 있는 다른 배치를 구매 하는것이 좋다 생각합니다.
  • 국내에선 10만원 중후반에 구매하실 수 있으며, 주변 몰트바에 가셔서 한잔 해보시고, 취향에 맞으시면 구매 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.
  • 🥃 데일리샷에서 구매하기 : https://dailyshot.page.link/pZdXfhb51FgpUmes6 ( 회원가입 시 친구 초대 코드를 입력하면 3000원 포인트를 받으실 수 있어요 ! 초대 코드 : QAU2P )
 

글렌알라키 10년 CS 배치 10 데일리샷에서 주문해보세요!

 

dailyshot.page.link

 


6. 다음 편 예고 & 관련 위스키

다음 편 예고

  • 다음 편 예고 : 다음 편에선, CS와 자주 나오는, Single Cask 에 대해서 다루어 볼 예정입니다.
  • Single Cask 개념을 구체적인 사례와 함께 자세히 설명할 예정이니 기대해 주세요!

참고: 관련 위스키 항목들은 앞으로의 포스팅에서도 지속적으로 다룰 예정입니다.